() 해외배송 가능
상품명 | 2023 KEC 가이드북 |
---|---|
제조사 | 자체제작 |
원산지 | 국내 |
판매가 | 21,850원 |
적립금 | 400원 (2%) |
상품코드 | P00000IO |
수량 | ![]() ![]() |
SNS 상품홍보 | ![]() ![]() |
---|
제목
[개정판] 2023 KEC 가이드북
머리말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의 2022.01.1.부터 전면 적용과 전기안전관리법의 시행에 따라 안전사항의 강화는 당장 한국전기안전공사의 공사계획신고를 위하여 기술자료(고장전류 계산, 접지시스템, 저압 보호장치 및 전선의 단면적 선정 등)를 요구하고 있는 등 전기설비 모든 분야에 경제성 악화와 혼란이 예상된다.
이 가이드북의 구성과 적용방법 그리고 전반적 이해를 위한 연계사항은 다음과 같다.
1. KEC의 주요 개정사항은 공통사항과 저압전기설비이며, 이에 대한 구체적 내용과 우리나라에서 적용되는 건축전기설비 실무를 중심으로 해법을 제시하였다.
2. 기존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과 내용적으로 변경사항이 거의 없는 제3장(고압·특고압 전기설비), 제4장(전기철도설비), 제5장(분산형전원설비)은 KEC 핸드북을 참고하기 바란다.
3. 제1장 공통사항의 120(전선)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제조 및 적용되는 절연전선과 케이블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전선의 시설방법이 배선설비이므로 KEC 230에 의한 제4장 배선설비 설계의 전선 규격 결정과 KEC 212(과전류 보호)에 의한 보호기기(배선차단기)의 선정 그리고 제5장 배선설비 공사방법(KEC 230)을 연계하여 보면 효과적일 것이다.
4. 접지는 감전보호의 기본사항이므로 KEC 211 감전에 대한 보호는 제2장 접지시스템(KEC 140)의 뒤에 연계하여 설명하였으며, 또한 시스템접지인 KEC 203 계통접지의 방식은 접지의 종류에 포함하여 설명하였다. 우리나라의 건축물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공통/통합접지시스템은 한국전력의 배전계통인 22.9 ㎸-Y 다중접지방식을 중심으로 개념을 정리하였다.
5. 건축법적 사항이나 이번에 KEC에 추가된 제3장 피뢰시스템 (KEC 150)은 외부피뢰시스템의 시설 측면에서 시공방법과 내부피뢰시스템의 전자기장해 방지를 위한 인하도선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며, 인하도선 수와 내부피뢰시스템 보호 등의 KEC 추가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KEC 전면 시행과 전기안전관리법의 시행으로 전기안전이 강화됨에 따라 접지시스템, 전선의 단면적과 과전류 보호장치의 정격선정 등은 과대한 설계물량과 전문적 기술사항이 전제되어 있다. 특히 건축분야의 기계설비에서 결정하는 전동기의 특성과 설계전류(FLC : 전부하전류) 및 배선차단기의 선정은 설계 시 결정이 어려워 가상적인 설계로 설계변경이 전제 되던가 과설계로 경제성이 없어질 수 있으므로 설계변경과 수전을 위한 사용전검사 전에 변경 공사계획신고를 하여야 함을 유념하여야 한다.
목차
제1장 KEC 구성과 공통사항
1. KEC의 체계와 구성
2. KEC 공통사항의 일반사항
3. 전선(KEC 120)
4. 전로의 절연(KEC 130)
5. 한국전기안전공사 검사기준
제2장 접지시스템(KEC 140)
1. 접지의 목적과 KEC 접지시스템의 구성
2. 접지시스템의 시설(KEC 142)
3. 감전보호용 등전위본딩(KEC 143)
4. 고압 · 특고압 접지설비(KEC 320)
5. 감전에 대한 보호(KEC 211)
6. 과전압에 대한 보호(KEC 213)
제3장 피뢰시스템(KEC 150)
1. 피뢰시스템의 적용범위 및 구성(KEC 151)제4장 KEC 배선설비의 설계
1. 배선설비와 배선설비공사의 종류제5장 KEC 배선설비 공사방법
1. 배선 및 조명설비 등의 일반사항(KEC 231)참고문헌